건강기능식품

인지기능/기억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어떤 것이 있을까?(4) - 포스파티딜세린

의약남 2025. 4. 1. 08:09

포스파티딜세린( Phosphatidylserine,PS)은 세포막 인지질로서 뇌와 신경시스템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알려져 있습니다. 

이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문헌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 

 

포스파티딜세린 분자구조

 

 

1. 개요 

포스파티딜세린은 신경세포와 세포 간 신호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정신적, 신경학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.

이에 건강기능식품으로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식약처에는 '노화로 인해 저하된 인지력 개선 ・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으로부터 피부 건강 유지 ・ 피부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음'의 기능성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. 

여러 기능성 중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노화로 인해 저하된 인지력 개선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포스파티딜세린 허가사항

2. 포스파티딜세린의 알려진 효과/효능 및 기전

포스파티딜세린의 기전

(1) 신경 세포막 안정화 및 유동성 증가

  • 포스파티딜세린은 세포막의 유동성(fluidity)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막이 유연하면 신경 세포 간의 신호 전달이 원활해지고, 기억 형성과 학습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.

(2) 신경전달물질(NT) 조절

  • 포스파티딜세린는 신경전달물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합니다.
- 아세틸콜린(ACh) 합성 증가를 통한 기억력 및 학습 능력 향상
- 도파민(DA) 분비 촉진을 통한 집중력 및 기분 개선
- 세로토닌(5-HT) 균형 조절을 통한 감정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
  • 특히 아세틸콜린(ACh) 은 기억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, 포스파티딜세린이 이를 증가시켜 인지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.

(3) 신경 세포 보호 (항산화 및 항염 효과)

  • 포스파티딜세린은 산화 스트레스(oxidative stress) 를 줄이고, 신경 염증을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 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
(4) 신경 성장 촉진 및 뇌 가소성(Neuroplasticity) 향상

  • 포스파티딜세린은 신경 성장 인자(NGF, Nerve Growth Factor)와 상호작용하여 신경세포의 성장과 재생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장기 기억 형성과 뇌 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
(5)HPA 축 조절 (스트레스 감소 효과)

  • 포스파티딜세린은 시상하부-뇌하수체-부신(HPA, Hypothalamic-Pituitary-Adrenal) 축을 조절하여 코르티솔(cortisol, 스트레스 호르몬) 분비를 감소시키는데 스트레스가 줄어들면 인지 기능과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

 

3. 포스파티딜세린의 용법/용량 및 부작용

포스파티딜세린의 건강기능식품 허가상 용량은 포스파티딜세린으로서 300 mg입니다. 

 

포스파티딜세린은 비교적 안전한 약품으로 분류되어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나 여타의 약품과 같이 알레르기와 소화기 장애는 포함하고 있습니다.

 

임산부와 수유부는 섭취에 주의하여하합니다.

 

과잉섭취 시 위장장애나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때문에 섭취 시 아침에 섭취하는 것을 권장 합니다. 

 

 

4.  문헌고찰

포스파티딜세린에 관란 문헌은 매주 제한적이었습니다. 특히 인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더 적었습니다. 

1992년 149명의 환자를 포스파티딜세린(100mg BC-PS tid) 또는 위약으로 12주 동안 치료한 결과 환자는 위약으로 치료한 환자에 비해 일상생활의 학습 및 기억 과제와 관련된 성과 테스트에서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긴 하였으나 그 날짜가 너무 오래되었습니다. 

때문에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를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를 다시 찾아보았습니다. 

해당 연구는 일본에서 진행되었으며 경미한 인지 장애(50~69세)가 있는 78명의 노인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6개월 동안 Soy-PS(100mg, 300mg/일) 또는 위약을 복용하게 했습니다.

 

https://pmc.ncbi.nlm.nih.gov/articles/PMC2966935/

 

Soybean-Derived Phosphatidylserine Improves Memory Function of the Elderly Japanese Subjects with Memory Complaints - PMC

Abstract Soybean-derived phosphatidylserine (Soy-PS) is a phosphatidylserine made from soybean lecithin by enzymatic reaction with L-serine. A double-blind,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y-PS on the cognitive fun

pmc.ncbi.nlm.nih.gov

 

 
 

 

해당 연구에서는 6개월 동안 Soy-PS를 경구 투여한 결과 기억 장애가 있는 노인의 기억 기능, 특히 지연된 회상이 개선되었습니다. 이 효과는 저용량(100mg/일)과 고용량(300mg/일) 모두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습니다. 

지연된 회상은 치매의 가장 초기 단계에서 손상된 인지 기능 중 하나로 여겨지므로 포스파티딜세린운은기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치매 발병을 예방하는 데 바람직한 보충제가 될 수 있습니다.

 

두번째로는 한국에서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입니다.

https://koreascience.kr/article/JAKO202210261444695.pdf

5개의 무작위 대조 시험과 4개의 사전-사후 연구를 포함한 9개의 연구가 선택되었고 PS 복용량은 100~300mg/d로 다양했으며 실험 기간은 6주~6개월이었습니다.

 

포스파티딜세린의 임상효과 메타분석 결과

메타분석 결과 Crichton 평가 척도에 포함된 일상 생활 과제 수행 능력을 변화시키지 않았습니다. 그러나 기억 영역은 포스파티딜세린의 보충으로 개선되었습니다. 결론적으로, 포스파티딜세린의 보충(특히 300mg/d)은 특히 기억 영역 내에서 부작용 없이 인지 기능을 개선할 수 있는 잠재력이 있습니다.

 

5. 결론

 

인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양이 많지는 않아 충분한 검토를 하지 못했으나 그 효과의 가능성에 대해 확인했습니다.

최근 연구된 논문들의 공통점은 기억장애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. 

따라서 건강기능식품에서 기능성으로 인정받은 노화로 인해 저하된 인지력 개선 부분의 경우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효과라 생각합니다. 

다만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만큼 뇌와 관련된 만벼옹치약으로 생각하지 않고 기억능력의 개선에 초점을 맞춰 예방 목적으로 섭취한다면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.